Thursday, November 29, 2012

비자유감

드디어 끼따스 여정이 끝나간다. 인도네시아에 와서 가장 골치 아팠던 것이 매달 비자연장하는 것이었다. 관광비자, 방문비자, 사회문화비자까지 골고루 거쳤다. 연장하는 날이 올 때마다 마감 날짜 맞춰 서류 만들고, 접수하고 언제나 속이 타들어갔던 것 같다. (어딜 가나 내 속 태우는 건 마감이로군) 어찌 되었든 공식적으로 나는 어떤 회사에도 고용되어 있지 않은 외국인이니 비자 문제가 골치거리일 수밖에 없는 거다. 비자비자비자, 국경없는 세계화니 세계는 하나니 해봤자 나처럼 힘없이 혈혈단신 넘어온 이주노동자에겐 도대체 와닿질 않는 거다. 지금까지 큰 고생을 해 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비자처럼 절박하고 나를 우울하게 만든 건 없다. 비자 걱정을 해야 하는 우울한 상황이 올 때마다 책상에 앉아 밤하늘을 보면서 가만히 생각을 했는데, 나름의 위안은 이런 거였다. '아, 이땅의 많은 이주노동자들, 전세계 인구의 3%(국제이주기구와 OECD 2005년 통계로 1억 9천만명, 2050년에는 2억 3천만명 예상)나 된다는데, 이들의 현실과 고통을 진심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지긋지긋한 스트레스를 벗어나기 위해 무리를 하고 시간과 돈과 정력을 써서 취업비자 끼따스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freelance journalist'라는 나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하여 보통의 절차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과 정력이 들어갔고, 이 안정적인 visa status를 유지하는 데도 여러모로 노력과 비용이 들어갈 거다.

외국에서 돈을 벌어가려면 그 나라에 세금을 내야 하고, 대가를 지불해야 하고 당연한 건데, 그래서 그럼 개별 이주노동자들이 돈을 벌 만큼 벌어가느냐, 비자로 썩는 골머리와 맘고생과 시간과 비용과 정력에 상응할 만한 보상이 있느냐, 따져보건데 절대로 아니라는 거다. 한국에 와있는 동남아-중국 이주노동자나 말레이시아 싱가폴에 가있는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나 다들 그런 고생을 해서 돈을 얼마나 버느냐, 그런 걸 생각하기 시작하면 우울하다. 그들을 취급(?)하는 문화도 우울하고, 그들이 벌어가는 쥐꼬리만한 돈도 우울하고. 도대체 그 많은 돈은 누가 벌어가느냐, 금융 투자 사업하는 자본가나 기업가 그들 돈 벌어가도록 챙겨주는 정부 아니겠나. 자본과 노동의 자유로운 이동이 필요한 건 사실은 개별 노동자가 아니라 돈 굴리는 사람들이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어차피 나는 돈을 벌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온 것이 아니므로, 그러나 생존을 위해서는 수입과 지출의 수지가 맞아야 하는 것은 분명한 가운데, 이런 것들을 따져볼 수 밖에 없는 거다. 아주 잠깐은 내가 취업비자를 받아 비자안정권에 들면 이런 이주노동 공감대를 잃어버릴까 걱정했는데, 그럴 일은 없겠다.

이럴 수록, 비자문제로 맘쓰고 돈쓰고 할수록, 더 강해지는 질문은 '인도네시아 왜 왔니'다. '뗌뽀에서 일을 배우고 싶다'던 유일한 목적이 다음 주자로 바통을 넘겨줘야 하는데, 아무리 손을 내밀며 달려가도 다음 주자가 선뜻 손을 뒤로 내밀지 않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왜 왔니' 바통은 점점 더 민망해지는 것이다. 계주는 계속되어야 하는데. 혼자서 끝까지 달릴 수 없는데. 주변에서 쏟아내고 내 안에서 쏟아내는 수많은 당위와 의무에 질식하기 전에 가볍게 달릴 수 있을 때 알아서 바통 받자. 곧 12월이다.

그렇고, 말도 안되는 인도네시아어로 그것도 전화로 흥정을 해내다니 참 나도 놀라운 뻔뻔함을 발견했다. 거래와 협상을 말로만 하는 건 아니구나. 협상력이란 이런 거네. 유레카.